목차
택시 면허시험 일정을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은 택시 운전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택시 면허시험 일정, 접수 방법, 시험과목, 시험장소, 합격기준까지 최신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1. 택시 면허시험 일정

택시 면허시험 일정은 연중 상시 CBT(Computer Based Test)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하루 총 4회차 시험이 있으며, 원하는 날짜와 회차를 선택해 응시할 수 있습니다.


- 1회차 : 09:20 ~ 10:30
- 2회차 : 11:00 ~ 12:10
- 3회차 : 14:00 ~ 15:10
- 4회차 : 16:00 ~ 17:10
시험장 사정에 따라 택시 면허시험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접수 시 확인해야 합니다.
2. 택시 면허시험 접수 방법
- 접수 방식 : 인터넷 접수(추천) 또는 전국 19개 시험장 방문 접수
- 응시 수수료 : 11,500원
- 준비물 : 운전면허증, 6개월 이내 컬러 사진(3.5 x 4.5cm)
- 인터넷 접수 시 JPG 파일 업로드 필요
3. 택시 면허시험 응시 자격
- 만 20세 이상
- 제1종 또는 제2종 보통 이상 운전면허 소지
- 운전경력 1년 이상 (취소·정지기간 제외)
-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른 결격사유가 없는 사람
4. 택시 면허시험 과목

택시 면허시험 일정에 따라 시험을 치르면, 다음 4개 과목이 출제됩니다.
- 교통 및 여객자동차 운수사업 법규 (20문항)
- 안전운행 요령 (20문항)
- 운송서비스 (20문항)
- 지리(서울·부산·대구 등 16개 지역 중 선택) (10문항)
5. 택시 면허시험 장소
택시 면허시험 일정은 전국 CBT 시험장에서 운영됩니다.

- 서울(구로·성산·노원·송파), 인천, 수원, 의정부
-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울산
- 전주, 창원, 춘천, 청주, 홍성, 제주, 상주 등
시험장은 지역별로 상시 운영되며, 일부 시험장은 주 2회만 시행합니다.
6. 택시 면허시험 합격 기준
택시 면허시험은 총 70문항이며, 100점 만점 기준 60점(42문항 이상)을 득점해야 합격합니다. 합격자는 시험 종료 후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택시 면허증 발급 절차
시험 합격 후 30일 이내에 자격증을 신청해야 하며, 인터넷 또는 방문 접수가 가능합니다. 수수료는 10,000원이며, 인터넷 신청 시 5~10일 이내 우편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지금까지 택시 면허시험 일정과 접수 방법, 시험과목, 합격 기준, 발급 절차까지 알아봤습니다. 택시 면허시험 일정은 상시 운영되므로 본인 일정에 맞춰 응시하면 되고, 철저한 준비가 합격의 지름길입니다. 택시 운전 종사를 계획하신다면 반드시 택시 면허시험 일정을 먼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북구, 해운대구, 사하구, 금정구, 강서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기장군
대구광역시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광주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
대전광역시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울산광역시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시 (행정구역 통합, 읍·면·동 체계)
경기도
수원시(장안·권선·팔달·영통), 성남시(수정·중원·분당), 의정부시, 안양시(만안·동안), 부천시, 광명시, 평택시, 동두천시, 안산시(상록·단원), 고양시(덕양·일산동·일산서), 과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오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하남시, 용인시(처인·기흥·수지), 파주시,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화성시, 광주시, 양주시, 포천시, 여주시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청주시(상당·서원·흥덕·청원), 충주시, 제천시,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단양군, 증평군 천안시(동남·서북), 공주시, 보령시, 아산시, 서산시,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전주시(완산·덕진), 군산시, 익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광양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포항시(남구·북구), 경주시, 김천시, 안동시, 구미시, 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문경시, 경산시,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예천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 창원시(의창·성산·마산합포·마산회원·진해),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제주시, 서귀포시
